전체 글166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12 채권의 가격과 수익률 채권의 종류와 특성 예) 액면가 1만 원, 매년 말 5%의 이자를 지급하는 2년 만기 채권의 발행가격이 9,500원 채권의 수익률이= 미래의 채권을 통해 나타나게 될 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을 했을 때 이 채권의 발행가격 9,500 원과 같아지게 하는 적절한 할인율 표면이자율(이표율): 연 5% 수익률(yield,y): 연 7.8% 9,500=500/(1+y) + 10,500/(1+y)^2 **채권 액면가 = 채권 발행가격 일때 수익률은 표면 이자율과 같아진다. 채권의 수익률 (yield) 미래의 채권을 통해 나타나게 될 현금의 흐름들을 적절한 할인률로 할인을 했을 때, 발행가격 9500원과 같아지게 하는 적절한 할인율 =내부수익률(IRR) 표면이자율(이표율) 연5% -> 금액 500원 이자금액(.. 2023. 10. 19.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11 채권의 종류와 특성 채권 채무증권 : 지급청구권이 표시된 증권 (지급청구권 : 채무증권에 명시된 특정한 금액을 지급해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표시되어 있음) 양도성 : 제 3자에게 양도 가능→ 제 3자에게 채권을 양도하고 그 양도의 대가로 조기에 현금화를 시킬 수 있음 → 채권이 발행되고 통용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 채권과 채무라는 특별한 계약을 통해서 성립 채권이란 채무증권의 약자로서, 이는 지급청구권이 표시된 증권을 뜻한다. 여기서 지급 청구권이란 이 채권에 적인 특정 금액을 지급해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채권의 가장 큰 특징은 양도성이다. 이는 채권이 발행되고 통용되는 데 크게 기여한다. 이러한 양도성의 대표적인 사례는 채권매각이다. 중소기업이 대기업 삼성과 거래를 하고, 그 거래 대금을 회.. 2023. 10. 18.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10 금융시장에서 이자율의 결정 금융시장 또한 하나의 시장이기에, 다른 시장과 같이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따라 균형이자율이 결정된다. 다음과 같은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이해하면 쉽다. 이자율 자금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자금 거래에서 가격의 역할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으로 균형 이자율이 도출됨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아지는 균형 조건(D=S)이 달성될 때 균형 이자율이 도출) 수요와 공급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들이 시장이자율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금융시장 균형 조건: 수요량 = 공급량 (D=S) 즉, 자금수요자와 자금공급자의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에 균형이자율이 결정되는 셈이다. (금리가 자금수요시장에서의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효용함수를 통해 소비자 유형 파악 그렇다면 자금수요자와 자금공급자의 그래프는 어떻게 결정되게.. 2023. 10. 17.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9 금융시장과 소비자의 효용 극대화 한 경제 내에서 각기 다른 시간 선호를 가진 여러 소비자들이 있을 수 있음. 시간선호가 다른 두 유형의 소비자들은 각자의 생애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예산 제약 하에서 행동. 이 예산 제약은 오늘 현재와 미래라는 두 기간을 고려하며, 현재에 주어진 예산과 미래 시점에서 주어질 예산을 고려. 금융시장이 기회를 제공한다면 대출이나 저축의 기회가 생기므로 소비자의 예산 제약식이 수정됨. 소비자는 현재의 예산을 일부 또는 전부를 저축하여 미래로 유보할 수 있음. 이런 상황에서 각 소비자의 선택은 달라질 수 있지만, 그들이 가지는 생애 예산 제약식은 동일. 만약 금융시장이 없다면 소비자들은 선택의 여지 없이 주어진 예산에 따라 소비를 해야 할 것. 하지만 금융시장을 통해 기회가 주어지면 소비자들은 원하는 어떤 소.. 2023. 10. 16.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8 소비자의 시간 선호 금융시장과 소비자의 선택: 현재 소비 vs. 미래 소비 금융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은 현재 소비와 미래 소비 사이에서 일어난다. 이 선택은 각 개인의 시간 선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 효용함수 U = f(C0, C1)어떤 한 사람의 일정한 시간에 걸친 소비와 소비로 인한 효용을 관찰할 수 있는 함수. 효용함수는 효용이 오늘 현재의 소비 C0와 미래의 C1으로 달성된다는 것을 알려줌. C0: 현재의 소비, C1: 미래의 소비 소비자의 시간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효용함수는 주어진 현재 소비 C0C0와 미래 소비 C1C1사이의 관계를 나타냄. 무차별곡선은 같은 효용 수준을 유지하는 여러 C0C0와 C1C1의 조합을 보여줌. 이 곡선은 각 점이 동일한 효용을 제공하므로 소.. 2023. 10. 9.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7 연금 및 투자안의 평가 연금의 계산 연금(annuity) 일정 기간 동안 매기간 일정 금액을 수령하거나 지급하는 현금흐름 영구연금(주식 벨류에이션에서 Discount Dividend Model, DDM) 성장연구연금(주식 벨류에이션에서 (Gordon Growth Model, GGM) 연금의 현재가치 EX) 할인율이 5%일 때 매년 말 10만원을 5년 간 받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EX) 매년 5,000원의 배당을 영구히 줄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이 있다. 이 주식의 가격은 변하지 않아,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없다. 투자자는 최소한 5%의 수익률을 얻고자 할때, 어떠한 방식으로 적정가치를 계산할 것이며, 적정가치는 얼마라고 생각되는가? 주어진 CF가 일정하고, 시세차익을 얻을 수 없으므로,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배당뿐이다. .. 2023. 10. 8.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6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를 구하는 이유 인플레이션 및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화폐가치를 비교하는 시점을 일치시켜야함 미래가치 FV = PV(1+r)^t r = 단위기간 이자율 현재가치 PV = FV/(1+r)^t t = 단위기간의 수 PV = CF/(1+d)^t 할인율 d 할인계수 DF = 1/(1+d)^t 미래의 현금흐름 CF = cash flow ex1) 100만원이 연 5%로 운용될 경우 1년 후 FV = 100(1+0.05)=105 2년 후 FV = 100(1+0.05)^2=110.25 월 복리 : 원금 A에 연간 명목이자율 r 을 m회 나누어 복리로 지급하는 경우 1년 후 FV=A((1+r)/m)^m t년 후 FV=A((1+r)/m)^mt ex3) 원금 100에 연간 명목이자율 연 12% 을 복리로 지급.. 2023. 10. 8.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5 이자율 VS 수익률 1. 수익률 수익 = V(1) - V(0) 최초 투자 금액 = V(0) 투자 결과 만기에 회수하는 것의 총 가치, 또는 그 회수되는 총 금액 = V(1) → 여기서 괄호의 0, 1은 시점, V는 Value 수익률 : 최초 투자 비용 대비 수익의 비율 = 수익 / 투자금액 ( V(1) - V(0) ) / V(0) = V(1) / V(0) - 1 보통 투자기간과 함께 백분율로 표시(ex. 연 15% 수익률) 2. 이자율 이자율 : 자금 거래 할 때 중요한 거래 조건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 자금 거래의 가격, 보통 자금 미래의 가격으로써 이자율을 많이 사용하게 됨. 예) 은행에 예금을 하거나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은행과 금융 소비자간의 계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격 조건. 이자율 vs 수익률 수익률은 .. 2023. 10. 8.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5-2 이자와 이자율 이자 : 자본(자금) 을 이용하는 대가 ( 이자 > 리스 & 임차) 이자율 : 이자 / 자금 ex) 1년간 100만원을 빌리고 5만원을 지불하는 경우: 5%(연) 이자율은 비교가능성을 가진다 ⇒ 금융 상품의 가격으로 활용됨 단순히 이자 7만원 / 8만원 은 비교 불가 7% 8% 는 비교 가능 이자가 생기는 이유 기회비용 채무 불이행 위험에 대한 보상 유동성 저하에 대한 보상 인플레이션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명목이자율 :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이자율 실질이자율 : 이를 배제한 이자율 ex) 현재 시점(P0)에서 컴퓨터 한 대를 살 돈인 100만원을 빌려주고 1년 있다가(P1) 105만원을 돌려받았다고 가정. 단, 컴퓨터 한 대는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년 후에는 105만원이 되었음. 이 경우 1.. 2023. 10. 8. 이전 1 ··· 5 6 7 8 9 10 11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