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데이터에 가치를 더하다, 서영석입니다.

전체 글165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8 다양한 평가 모형 배당 평가 모형 가장 기초적인 주식 가치 평가 모형. 주식의 가치-> 주식을 보유하면서 얻을 수 있는 현금의 흐름의 현재가치 '얻을 수 있는 현금'= 배당수익, 거래 차익 이 CF를 적절한 할인율을 적용해서 현가를 구해야 함 그럼 어떤 할인율을 적용해야 하는지? 1) 요구(기대) 수익률 - 투자자가 투자할 때 기대하는, 혹은 기업에게 요구하는 수익률. 2) 자기자본 비용 - 기업이 현금을 조달하는 데에 드는 평균적인 비용을 할인율로 적용 가능. EX) 1년 보유, 현재 주가 P0, 1년 후 주가 P1 1년 보유로 인한 배당금 D1 수익률 r1이라고 가정. 이 r1을 어떻게 표시할 것인가? CF=배당수익과 거래차익의 현재가치 배당수익=D1 거래차익=P1-P0 즉 P1-P0+D1이라는 현금 흐름이 1시점에서.. 2023. 10. 31.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7 주식 가치 평가의 의의 주식의 역할 주식은 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에 속하는 금융자산이다. 주식은 만기가 존재하지 않기에 영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자금조달원으로 주식을 많이 선택하게 된다. 그래서 주식은 소유권과 수익성이라는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자산이라고 볼 수 있다. 주식은 투자자에게 큰 두가지 방법으로 수익을 가져다 준다. 첫 번째는 그 기업이 창출하는 배당이다.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고 배당을 하기로 결정을 하면 주식의 투자자들인 주주로서 받는 배당금이 하나의 수익원이 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시세차익이다. 싼값에 매수 후 비싼 값에 매도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뜻한다. 주식은 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에 속하는 대표적인 자산으로서 만기가 없으므로 장기적인 자금조달 원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 낮.. 2023. 10. 30.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6 최적 포트폴리오 선택의 원리와 기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재화를 선택 SML을 사용해서 자산의 위험(베타)에 상응하는 기대수익률을 산출해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이와 같이 자산의 수익성과 위험성은 어떠한 자산이 ‘효율적’, 혹은 ‘최적’인지 확인할 때 고려되어야 할 두 요소 인 것이다. 위험에 따른 기대수익률이 SML에 따라 산출된 그 수익률이여야 그 자산은 ‘효율적’이고 시장에 존재할 수 있다. 그 이후 이렇게 시장에서 모인 효율적인 자산의 집합 중에서 개인의 선호도(위험을 얼마나 선호하는가)에 따라 본인이 자산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보다 얻을 수 있는 미래의 더 큰 현금흐름을 상당히 높이 평가를 해야 한다. 투자가 아닌 다른 목적이라면, 특정 목적에 더 큰 비중 또는 가중치를 두어서 평.. 2023. 10. 28.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5 증권시장선의 도출 증권시장선 도출 증권시장선(Security Market Line, SML) → 총 위험을 나타내는 표준편차 대신 베타계수를 위험의 척도로 사용. → 베타 계수란 시장 포트폴리오에 의해 설명되는 체계적 위험을 뜻함. 기대수익률과 베타계수의 관계 -체계적 위험을 나타내는 베타계수가 높을수록 기대수익률이 높아짐 무위험자산의 Bf = 0 / E = rf 시장포트폴리오의 Bm=1 / E = rm 자본시장선(Capital Market Line, CML)과 유사한 개념. 자본시장선에서는 표준편차와 평균을 사용하여, 수익성과 위험성의 관계를 나타냈지만, 증권시장선에서는 베타계수와 기대수익률의 관계를 사용하여 수익성과 위험성의 관계를 나타냄. cf) 베타계수란? 개별 주식의 수익률(ri)과 시장수익률(rm)과의 관계를 .. 2023. 10. 27.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4 시장모형 시장 모형 Sharpe의 시장 모형(Market Model) 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단일 시장지표(single market index) →시장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개별 자산(주식)과의 관계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이론 →구체적 모형 Markowitz의 포트폴리오 이론에서는 efficient frontier를 위해 모든 자산의 분산과 공분산을 알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 분산 또는 표준편차 구하는 과정이 복잡 rm : 시장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ri : 개별적인 자산, 개별적인 주식의 수익률 (i 번째 수익률) → 시장수익률에 의해 설명 되어 질 수 있음 [선형모형] α + ß * rm ß : rm (시장수익률)에 대해 계수역할 ε : 오차항 ⇒ 모든 개별 주식의 수익률은 시장수익률로써 설명될 수 있.. 2023. 10. 26.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3 자본 시장선 자본시장선 고려사항: 여러가지 금융상품 중에서 투자 목적의 금융상품 투자목적: 미래에 더 큰 현금흐름을 얻기 위해 현재 주어진 자금을 운용하는 것 위험성, 수익성 → 높은 수익성 = 높은 위험성 ⇒ 수익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고려해서 최적화된 투자 선택을 해야 함 Q: 수익성과 위험성을 기준으로 두고, 여기서 자본시장선이라고 하는 것을 수익성,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자산이 있을 때, 어떻게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자본시장선] 정의: 무위험자산 포함 시 가장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 집합 (영어로는 CML) 공식: E(rp) = ((E(rm) - rf) / σm) σp + rf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 즉, 위험에 대한 대가 혹은 보상. 어떠한 투자 대상에.. 2023. 10. 25.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2 시장 포트폴리오 시장 포트폴리오 위험자산들의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집합(S_R) 이자 무위험자산 포함 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집합(S_F) 위험자산만으로 구성 → 무위험 자산 포함 -존재하는 모든 무위험 자산들로 포트폴리오 기회 집합을 구할시-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집합 이유:최소 분산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아래 점=지배되는(우세X) 점 , 위 점=우세한 포트폴리오 -위험자산들만의 효율적인 기회집합과 만나게 연결→직선 위 점이 기존 점보다 훨씬 우세(효율적인 기회집합) -가로축: 마켓 수익률의 표준편차(시그마) -세로축: 마켓 수익률 기댓값 -M: 시장 포트폴리오 시장 포트폴리오는 가장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집합에 속함 M을 구성한 자산이 가능한 모든 위험자산으로 구성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집합 (가장 효율적.. 2023. 10. 24.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1 무위험자산을 위한 포트폴리오 최소분산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기회집합 중에서 '분산'(위험성)을 최소로 하는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기회집합? : 두 자산을 비중을 달리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의 '기회'집합 각 자산의 배분 비중을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포트폴리오 기회 집합 내에서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성을 '최소 분산 포트폴리오'라고 한다. 자산a와 자산b의 비중 합이 1이라고 할 때, (제약조건; s.t.(constraint)) 자산 a,b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분산 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각 자산의 비중을 찾을 수 있다.(목적함수) 제약조건을 목적함수에 적용하기 위하여 자산b를 자산 a에 대해 표현하여 포트폴리오 분산 식을 자산a에 대해 나타내면 목적함수가 자산a를 변수로.. 2023. 10. 24.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20 분산 투자의 원리와 포트폴리오 분산 투자의 원리와 포트폴리오 [예]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이 다른 세 자산 (* [7장] 분산투자의 원리: 위험자산인 주식을 투자하는 경우 수익률의 변화 방향이 다른 주식을 혼합하여 투자하였을 때 위험을 완전히 없애거나 줄일 수 있음) 자산 A, B: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에 영향을 줌 자산 C: 환율 변동에도 고정적으로 5% 수익률을 달성 즉 위 예제에서의 위험 요인은 환율 (자산 C는 무위험 자산으로 간주될 수 O) 100만원을 자산 C에 투자하는 것과 50만원씩 각각 자산 A와 B에 투자하는 것은 같은 결과 (분산투자의 원리) 두 자산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일 수 있음 자산 C에만 투자: 1,050,000원 회수 환율 하락 시 A, B에 각각 50먼원 투자: A 45만원, B 60만원.. 2023.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