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데이터에 가치를 더하다, 서영석입니다.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분석/금융 데이터 분석 (금융학회)

[Financial Data] 금융경제학 Basic #32 총수요와 총공급

by 꿀먹은데이터 2023. 11. 6.

AD-AS 모형 (총수요와 총공급 곡선)

  • 경제 전체의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을 총합하여 하나의 재화 시장으로 간주
  • 실제로는 P와 Q를 각각 가격벡터와 수량벡터로 고려하거나 Index를 활용할 수 있음
  • 경제 전체의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을 각각 총합하여 마치 하나의 재화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과 같이 모형화
  • 물가(p)와 실질 소득(y)

총수요(Aggregate Demand, AD)

실물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을 통해 총수요곡선 도출

  • 실물시장 : y=c+i(r)+g : 실질소득=소비수요+투자수요+정부수요
  • 화폐시장 : Md=Ms : Md=y*L(r)=Ms(저량)

⇒ 물가가 오르면, Md=YL(r)=pyL(r)에서 (Y=py) p가 오르므로 Md 곡선 상승, 이자율 상승

⇒ 기업의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자본의 조달비용인 이자율이 상승했으므로 투자 감소 ⇒ y 감소

즉, AD 곡선은 (높은 물가,낮은 실질소득) and (낮은 물가,높은 실질소득)이 결합되는 우하향 곡선 도출

  • 생산물 시장의 균형: y=c+i(r)+g
  • 화폐 시장의 균형: Md=Ms
  • p↑⇒ r↑⇒ i↓⇒ y↓

 

총공급(Aggregate Supply, AS)

단기적으로 자본이 고정되어있고, 폐쇄경제라는 가정 하에, 노동시장의 균형으로부터 도출

  • 노동 수요 : W=p * f(L), 노동 공급 : W=p^e * g(L)
  • → 보통 f(L)은 노동의 한계생산, g(L)은 여가와 소비 간 한계대체율로 간주

⇒ 물가가 오르면, p^e는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노동수요곡선만 위로 이동 ⇒ 임금과 노동량 증가 ⇒ 생산요소 투입량 증가로 인한 실질생산 y 증가

즉, AS 곡선은 (높은 물가,높은 실질소득) and (낲은 물가,낮은 실질소득)이 결합되는 우상향 곡선 도출

  • 단기적으로 자본(K)은 고정, 노동(L)은 가변
  • 노동 수요: W=p*f(L)
  • 노동 공급: W=p^e*g(L)
  • 노동 시장의 균형으로부터 p↑⇒ L↑⇒ y↑

AD-AS 모형을 통한 거시경제 분석

 LAS가 수직으로 나타나는 이유 : 물가 상승시 장기에서는 노동시장에서 노동공급에 반영되는 기대물가가 실제물가수준으로 수렴

→ 따라서 물가 상승으로 인해 노동의 한계생산가치 상승으로 노동수요도 늘어나지만 실질임금 하락으로 노동공급도 감소하여 본래의 노동량에서 물가수준만 올라가는 효과를 낳음. 같은 생산수준에서 물가만 상승하는 효과.

  • 재정지출 증가
  • 통화량의 증가

  1. 재정지출 증가 → g가 증가하므로 총수요 증가, AD 위로 평행이동 (원래 경제가 A점에 있었다면 AD가 AD'으로 이동하면서 B점으로 이동) ⇒ 물가수준과 실질GDP가 모두 상승. → 정부지출 증가로 경기를 부양하는 것을 경기부양 재정정책 (장기적으로는 물가만 상승시키는 결과)
  2. 통화량 증가 → 아래 그래프처럼 화폐시장에서 Ms가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이자율 하락 (이자율은 동조성을 보이므로 금리의 전반적 하락 기조) → 투자 증가, AD 위로 평행이동 (위와 동일)
  3. 반대로, 금리 인상 → 투자 감소로 인한 AD 곡선 하방이동, 물가수준과 실질GDP 모두 감소 ⇒ 가격경직성, 기대조정, 통화 및 재정정책, 개방경제 등 다양한 조건 도입하여 분석 가능

자연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

Notation : Ln (자연실업률 수준에서의 노동량), yn (자연실업률 수준에서의 실질소득 : 잠재생산량)

→ 노동시장에서의 기대 조정 과정 예시

  • 인위적인 제도나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적으로 노동 시장의 균형을 통해 형성되는 실업률
  • 자연실업률 수준에서의 노동량(Ln)과 yn
  • 단기적으로 E0와 같은 균형이 가능하나 노동자들이 현재의 균형 물가를 물가 예상의 기준으로 삼아 AS 이동

  • 현재 경제 : E(균형) ⇒ 모종의 이유로 인해 AS 곡선이 AS0로 이동한다면?

→ 예를 들어, 사람들이 물가수준이 아주 낮을 것으로 기대했는데 실제 물가수준이 높았다면 호황인 상황. 잠재생산량을 초과하여 생산하고 있는 상황 (yn < y0)

→ 사람들의 기대물가가 점차 상향조정되면서 노동공급이 감소하고, 그 결과 노동시장에서 결정되는 노동량이 줄어들어 AS 곡선 원래대로 복귀, 잠재생산량 yn 수준, 즉 E 점으로 복귀

⇒ 기대 조정이라는 매커니즘을 통해 경제의 단기적 불균형이 균형점으로 복귀하게 된다.